728x90
반응형

오늘은 구별과 구분의 차이점을 다루려고 합니다. 일상생활에서 많이 틀리기도 하고, 쉽게 나눠쓰지 못하는 것 같아요.은근히 헷갈리는 문법이 가장 어려운 법인데, 오늘 다뤄볼 구별과 구분도 그렇다는 생각이 들었습니다. 심지어 구분과 구별을 달리 사용해야하는 문서들에서도 틀린 곳을 발견하기 쉽다고 할 정도로 자주 틀리는 어휘라고 합니다.
구별하다 / 구별
구별
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차이가 남. 또는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음(표준국어대사전)
어떤 것과 다른 것을 차이에 따라 나눔. 또는 그 사이에 나타나는 차이(고려대한국어대사전)

구별하다는 동사로 성질이나 종류에 따라 갈라놓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.
| 구별하다 예시 |
| 1.공과 사를 구별하다. |
| 2.날이 어두워지면서부터는 입장들이 뒤바뀌어 위로하는 사람과 위로받는 사람을 거의 구별할 수 없게 되었다. <윤흥길, 장마> |
| 3.선악을 구별하다. |
| 4.나는 그 쌍둥이 자매를 구별하지 못해서 언니에게 동생의 이름을 부른 적도 한두 번이 아니다. |
| 5.그들의 주장을 주제별로 나눠 보면 대략 3가지로 구별할 수 있다. |
| 6.어떤 학자들은 사람들을 몇 가지 유형으로 구별하기도 한다. |
| 출처: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|
구별하다의 유의어로는 가르다, 가리다, 구분하다 가 있습니다. 유의어에도 구분하다가 등장하는 만큼 사용할 때 더욱 더 주의를 요합니다.
'구별하다'는 나누어진 각각의 것들에서 차이를 인식한다는 것에 초점이 놓여 있다고 생각하면 됩니다. 여기서 '차이'란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름 또는 서로 같지 아니하고 다른 정도나 상태를 말합니다.
| 구별하다 / 구별 더 많은 예시 |
| 1.진짜와 가짜를 구별하다. |
| 2.물체를 구별하다. |
| 3.병아리를 잘 구별한다. |
| 4.시장에서 수입 생선과 구산 생선을 구별할 수 있어야 한다. |
| 5.내 진의는 말이야, 사람을 그렇게 동물이나 식물 분류하듯이 종과 속으로 구별하겠다는 낌새가 수상쩍기도 하고, 점점 지저분한 관심을 유발시킨다 이거야 <김원우, 짐승의 시간> |
| 6.오늘날 우리가 지식인이란 말을 쓰는 건 유식한 사람을 무식한 사람과 단순히 구별하기 위한 언어학적인 용어로서가 아니고 반동의 계기를 품은 위험 분자들이란 뜻에.... <이병주, 지리산> |
| 7.군대는 계급의 상하 구별이 엄하다. |
| 8.요즘은 성의 구별이 잘 되지 않는다. |
| 9.쌍둥이를 구별하기는 어렵다. |
| 10.인간은 동물과 구별된다. |
| 11.종이로 만든 꽃이 감쪽같아서 진짜와 구별하기 어렵다. |
| 12.수평선을 경계로 하늘과 바다가 구별되어 보였다. |
| 13.어떤 것이 진짜이고 어떤 것이 가짜인지 잘 구별되지 않는다. |
| 14.뫼비우스의 띠는 안과 겉을 구별할 수 없는 곡면으로 되어 있다. |
| 15.처음 보는 사람은 구별하지 못할 정도 |
| 16.차가 너무 빨라서 사람들의 얼굴을 구별할 수 없었다. |
자. 그럼 이제 구분을 알아봅시다.
구분하다 / 구분
구분
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체를 몇 개로 갈라 나눔.(표준국어대사전)
일정한 기분에 따라 전체를 몇 개로 나누어서 가름.(고려대한국어대사전)

구분하다는 동사로 일정한 기준에 따라 전체를 몇 개로 갈라 나누다라는 뜻을 가지고 있습니다.
| 구분하다 예시 |
| 1.열차의 좌석을 흡연석과 금연석으로 구분해 놓았다. |
| 2.읽을 책을 읽은 책과 구분하다. |
| 3.우리는 옳고 그른 일들을 구분할 줄 알아야 한다. |
| 출처 : 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|
'구분하다'의 뜻을 보면, 전체 집단을 어떤 기준에 따라서 '나누는' 행위에 초점이 맞춰져 있다는 것을 알 수 있습니다.
'분류'로 바꿔서 말이 되면 '구분'이라고 생각하면 쉽습니다.
| 구분하다 / 구분 예시 |
| 1.용도에 따라 구분하다. |
| 2.노소를 구분하다. |
| 3.상자에 든 공을 색깔별로 구분해. |
| 4.연애와 결혼을 구분해서 생각한다. |
| 5.기숙사에는 남녀의 방이 구분되어 있다. |
| 6.문과와 이과가 구분되어 있다. |
| 7.병아리의 성별을 구분하지 쉽지 않다. |
| 8.서정시와 서사시의 구분은 상대적일 뿐이다. |
| 9.여객기는 일등석과 일반석을 구분해 놓았다. |
| 10.국유지와 사유지의 구분 |
| 11.몇 가지 유형으로 구분할 수 있다. |
| 12.가해자와 피해자를 구분할 수 있는 기준이 있다. |
| 13.정신과 육체를 구분하지 않고 |
| 14.소설책과 시집을 구분했다. |
| 15.김노인은 점점 쇠약해지는 몸과 앞도 잘 구분 못하는 노안을 한탄하였다. |
| 16.문짝도 바로 없고 댓돌에도 망초 나서 안이나 밖이나 구분하기 어려운데 <최명희, 혼불> |
오늘은 수많은 예시를 찾아서 구분과 구별을 구분해보려고 노렸했습니다.
구별할 점이 보이시나요?
역시 언어의 학습에는 무한 반복만한 게 없는 것 같습니다.
꾸준히 예를 찾아보고 정확하게 사용할 수 있는 연습을 해야할 것 같아요.
728x90
반응형